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노인복지론 1강: 노인에 대한 이해 1-2 노화의 주요 측면 노화의 주요 측면 1. 노화의 생물학적 측면 Beaver(1983)“노화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인간의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인간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 대표적인 노인문제 경제적 빈곤문제 건강문제 : 만성질환, 치료를 계속적으로 지속해야 함. 심리사회적인 소외와 고독감의 문제 역할 상실노인부양문제 및 고령화에 따른 여성 노인의 사회문제Birren(1959)"노화의 변화 과정은 생물학적 노화, 심리적 노화 및 사회적 노화의 과정이 포함되어야 한다. "  생물학적 노화: 신체의 기관과 구조 및 기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심리적 노화: 축적된 경험에 의한 행동, 감각, 지각, 기능, 자아에 대한 인식 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 사회적 노화: 생활주기를 통하.. 2025. 3. 7.
노인복지론 1강 : 노인에 대한 이해 1-1 노인의 개념 노인복지의 목적 노인의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문제를 예방, 경감,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노인노년고령자나이든 사람에 대한 일반적 호칭노년기라는 발달과정상의 시간적 의미가 강함 장년-노년층의 보다 넓은 인구계층(특히 55세 이상의 자)학술연구에서는 '노인'이라는 중립적 용어가 적절하며, 실천과 일상에서는 어르신이라는 표현이 적절 노인에 대한 개념 정의 1.Breen- 노화로 인하여 생물, 심리, 사회적 기능이 감퇴한 사람2.국제노년학회- 생리, 심리, 환경적 변화 및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생물학적 노화 중시)3.장인협, 최성재-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 개인의 자기유지기능과 사회적 역할기능이 악화되고 있는 사람⇒ “노화의 과.. 2025. 3. 6.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안녕하세요. 달콤쌤입니다. 오늘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해 정의하고 상관관계에 대해서 정리해봅니다. 인공지능(AI)이란 무엇일까요?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인공지능이라고 합니다.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을 의미하며 게임하기, 의학적 진단하기, 자율 주행 자동차 운전하기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학습될 수 있습니다.머신러닝,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우리 삶의 많은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의 주요 기능:학습: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지식을 쌓고, 개선합니다.추론(예측능력): 학습된 지식을 사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론하고, 예측을 합니다.문제 해결: 복잡한 문제를 해.. 2024. 10. 21.
초등 컴퓨터 교육의 시작은 ? 안녕하세요. 달콤쌤입니다. 오늘은 컴퓨터를 처음 접하는 아이들은 뭐부터 해야 할까요? 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합니다.컴퓨터 교육 꼭 시켜야 하나요?여름방학을 맞이해서 각 초등학교에서 컴퓨터특강이 열리는 경우가 많아요. 그럼 어머님들이 여쭈어 보십니다. 초1인데 컴퓨터교육이 필요할까요? 결론부터 드리면 '네, 필요합니다.' 현대 사회는 컴퓨터와 뗄 수는 정보화 사회, 디지털사회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얼마나 잘 알고 활용하느냐는 곧 능력이 됩니다. 정부에서 초, 중, 고에 정보수업을 들이는 계기?가 되었던 것은 아이폰,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소프트웨어 능력이 곧 나라의 기술력을 죄우하게 된다는 걸 경험하게 되면서라는 설이 있습니다. 인도의 경우 전국민이 코딩을 배우게 되는데 그 결과 소프트웨.. 2024. 7.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