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의 목적
노인의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문제를 예방, 경감,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
노인 | 노년 | 고령자 |
나이든 사람에 대한 일반적 호칭 | 노년기라는 발달과정상의 시간적 의미가 강함 | 장년-노년층의 보다 넓은 인구계층(특히 55세 이상의 자) |
학술연구에서는 '노인'이라는 중립적 용어가 적절하며, 실천과 일상에서는 어르신이라는 표현이 적절
노인에 대한 개념 정의
1.Breen
- 노화로 인하여 생물, 심리, 사회적 기능이 감퇴한 사람
2.국제노년학회
- 생리, 심리, 환경적 변화 및 행동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에 있는 사람(생물학적
노화 중시)
3.장인협, 최성재
-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 개인의 자기유지기능과 사회적
역할기능이 악화되고 있는 사람
⇒ “노화의 과정 또는 그 결과로 생리, 심리,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어 자립적 생활능력과 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이 악화되고 있는 사람”
노인의 대한 조작적 정의
1.개인자각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2.역연령에 의한 구분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정의로, 만 나이를 기준으로 노인 정의
3.사회적 역할상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획득과 상실을 기준으로 노인 정의
>> 퇴직자, 주부역할 이양자 등을 노인으로 규정
4.기능적 연령
산업노년학분야에서 신체기능, 생산성 등 기능적 연령을 근거로 규정
>> 연령과 생산성 사이에 반드시 정적 상관성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역연령보다는 기능 수준을 근거로 퇴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
5.발달단계
인간발달단계상 노화가 일어나는 삶의 마지막 시기에 속한 사람
후기성인기(50대 후반~) - 노년기(60세또는 65세~) - 후기노년기(75세~)
각각의 정의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역연력에 의한 정의를 기반으로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정의 1~2개를 복합적으로 활용함이 바람직함!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신분을 고려해서 정의되어야 한다.
생각나누기
여러분의 조부모 또는 이웃노인을 언제부터 무엇을 근거로 노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고, 노인에 관한 조작적 정의 중 어느것이 바람직한지 기술해 보세요.
저희 조부모를 생각해보면 사회적 기능을 상실한 채 신체적 기능 또한 생산적이지 않은 시점에 노인이라고 생각했던 거 같습니다.
현대사회에서는 정년피크제등의 사회제도로 만 65세 이후에도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늘리는 방향으로 노인복지제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거 같은데,
덕분에 역연력에 의한 구분 보다는 사회적 역할을 상실했는지 여부와 기능적 연령이 더 중요한 기준이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퀴즈
1. 다음 중 인간발달의 다차원적 측면을 구성하는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 성장
- 성숙
- 노화
- 사회, 경제적 지위
2. 다음 중 각 단어와 설명이 제대로 연결되지 못한 것은 어느 것인가?
- 노인-나이든 사람에 대한 일반적 호칭
- 노년-노년기라는 발달과정상의 사회학적 의미가 강함
- 고령자-장년, 노년층의 보다 넓은 인구계층(특히 55세 이상의 자)
- 학술연구-노인이라는 중립적 용어가 적절, 실천과 일상-어르신이라는 용어가 적절
3. 노인의 개념 정의 중 조작적 개념을 설명하는 것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노인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스스로를 노인이라고 규정하는 개인자각
- 노인의 신체적 힘을 기준으로 하는 역 연령적 자각
- 사회적 지위, 역할 상실을 기준으로 하는 사회적 역할 상실
- 산업분야에서의 생산성 등 기능적 특성을 기준으로 하는 기능적 연령
'사회복지사 공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1강:사회복지법 총론 1-2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형성과 특징 (0) | 2025.03.11 |
---|---|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1강:사회복지법 총론 1-1 사회복지법의 의미 (1) | 2025.03.07 |
노인복지론 1강: 노인에 대한 이해 1-2 노화의 주요 측면 (0) | 2025.03.07 |